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대입정보86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자료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9. 5.
수능 가채점표 수능 가채점표 3가지 유형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유형으로 선택하셔서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수험표 크기 : 20.8cm × 7.9cm 2024. 9. 5.
수능 이원화 · 내신 외부평가제 도입 논의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Id=N1007767754&plink=ORI&cooper=NAVER&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단독] 수능 이원화 · 내신 외부평가제 도입 논의오늘은 저희가 단독 취재한 내용으로 뉴스 시작하겠습니다. 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인 국가교육위원회가 대입 수능 시험을 둘로 나누고 고등학교의 내신 평가를 외부기관에 맡기는 방안을 논news.sbs.co.kr 요약 정리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인 국가교육위원회가 대입 수능 시험을 둘로 나누고 고등학교의 내신 평가를 외부기관에 맡기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국가교육위원회 산하 교육.. 2024. 8. 20.
물 분자가 만들어 내는 신비한 힘, ‘음펨바 효과’ 음펨바 효과(Mpemba effect)는 같은 냉각 조건에서 고온의물이 저온의 물보다 더 빨리 어는 현상 또는 그 효과를 말한다. 이는 35℃ 물과 5℃ 물로 실험하였을 때 비교효과가 극대화된다. 1963년 탄자니아의  중학생인 에라스토 음펨바(Erasto B. Mpemba)가 처음 발견했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다. 끓는 우유에 설탕을 섞어 식힌 후 냉동실에 얼려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과학 수업에서 식히지 않은 우유가 더 빨리 어는 것을 발견했다.몇 차례 똑같은 실험을 반복했지만, 결과는 항상 같았다. 이후 1969년 인근 대학 물리학자인 오스본 교수에게 알렸고 음펨바 효과가 세상에 알려졌다.그러나, 음펨바 효과의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음펨바 효과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1. 증발가설일부.. 2024. 8. 18.
대학별 환산점수 대학별 환산 점수란 지원자의 내신 또는 수능 성적을 대학의 자체 계산식으로 변환한 점수이다. 학생부 또는 수능 성적을 대학 기준에 맞게 등급별로 환산하는데, 교과(영역)별 반영 비율, 가중치나 가산점 등을 반영한다. 대학마다 환산 점수 산출 방법이 다르다. 교과 성적을 50% 이상 반영하는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서강대는 전 과목을 반영하는 반면 경희대는 국어 영어 수학을 기본 반영하되 인문 계열은 사회 교과목 및 한국사를, 자연 계열은 과학 교과목을 추가 반영하는 등 반영 교과부터 반영 과목 수가 차이 난다. 따라서 내신 성적이 같은 학생이라도 대학별 환산 점수는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환산점수 계산 서비스1.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의 성적 분석 서비스성적분석 카테고리에서 성적을 입력하면 희망 대학의 .. 2024. 8. 17.
‘진로역량’ 면접형 vs ‘학업역량’ 서류형 학생부종합 서류형과 면접형의 차이는 단순히 면접 유무에만 있지는 않다. 대다수의 대학은 두 전형 간 학생부 평가요소별 반영비율을 달리하여 전형 취지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서류형의 경우에는 학업역량이 강조되고 면접형의 경우에는 진로역량이 강조된다. 서류형은 학생부만으로 선발하는 일괄합산전형이다. 면접형은 1단계에서 서류 평가로 일정 배수를 선별한 뒤 2단계에서 면접을 진행해  1단계 성적과 합산해서 최종 선발하는 단계별 전형이다.  2025학년도 서류형 및 면접형 시행 대학지역2025학년도 서류형/면접형 운영 대학(40개대학)2024학년도 서류형/면접형 운영 대학(35개대학)서울가톨릭대(서울),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덕성여대, 명지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세종대, .. 2024. 8. 16.
탐구활동 기획 및 기재 전략 1. 탐구활동 3단계 2. 탐구 활동 핵심 원리 3. 탐구활동 기획시 기본 전략 4. 탐구활동 메뉴얼   사례로 이해하기  5. 탐구활동 주제 찾는 방법  ① 교육과정 성취기준 해설 참고      KICE 학생평가지원포털 (moe.go.kr)   ② 현재 또는 상위 학년 교과서의 심화 탐구 활동 참고   ③ 전년도 학생부 기록의 심화, 확장 가능한 주제 추출       나이스 대국민서비스 (neis.go.kr)   ④ 대입 대학별 고사 (제시문 면접, 논술) 기출 문항 참고     예시)    ⑤  서울대학교 아로리 '나도 입학사정관' 학생부 사례 참고        아로리 -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snu.ac.kr)    ⑥ 학술 논문 참고 후 다운그레이드 (초록 활용)     * 논문 키워드 활용하기 .. 2024. 8. 14.
2026학년도 대학 입학 시행계획 검색기 출처: 경기도교육청 2024. 8. 14.
5개년(2020-2024학년도) 수시.정시 입결 1. 수시입시결과   2. 정시 입시 결과    출처: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4. 8. 14.
2025학년도 수능 원서 접수 1. 응시원서 교부 및 접수  2. 제출서류  * 기타서류(해당자만 제출) 3. 응시원서 작성요령 ① 성 명 : 주민등록등(초)본에 등재되어 있는 이름을 한글로 정확하게 기재     ※  외국인은 한글로 표기하되, 맨 처음부터 네 글자만 표기함 ② 주민등록번호 : 주민등록등(초)본에 등재되어 있는 대로 기재     ※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자에 대한 표기      ⑴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자는 외국인 등록번호 기재      ⑵ 외국인 등록번호가 없는 자는 앞자리 (6자리)는 생년월일을 기재하고 ,                                                          뒷자리 (7자리)는 남자인 경우 1000000, 여자인 경우 2000000 으로 기재  ③ 현 주소 : 주민.. 2024. 8. 14.
728x90
반응형
LIST